출판의 한류를 꿈꾸는 출판사 CUON의 김승복 대표 인터뷰

2012. 11. 6. 17:44

<도시는 무엇으로 이루어지는가> <나가사키 파파> <악기들의 도서관> <채식주의자> <시크릿 가든 필름코믹> 등 한국 책을 일본에 번역 출간하고 있는 출판사 CUON(쿠온)의 김승복 대표 인터뷰.



"1991년에 대학을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97년에 일본의 대학을 졸업했습니다. 당시 한국은 IMF라서 취직이 힘들다는 소문을 듣고 일본에서 한국 관련 영업 일을 하다가 2007년 7월에 한국 책을 전문으로 일본에 번역 출간하는 주식회사 CUON을 차렸습니다."



Q 주식회사 CUON을 시작한 동기는?

"좋은 한국 작품을 일본에 널리 읽히게 하고 싶다는 생각으로 여러 일본 출판사에 출간을 제의했는데요. 한국 문학이 일본에서 성공한 예는 아직 별로 없어서 일본의 출판사들, 특히 대형 출판사는 위험을 감수하며 출판을 하려고 하지 않았어요. 그래? 그럼 내가 출판하자고 마음먹었지요. 그런 단순한 이유로 출판사를 차렸습니다."


Q 지금 일본에서 잘 팔리는 한국 책은 다이어트나 요리책 같은 실용서가 대부분이잖아요. 아주 재미있는 한국 소설을 가지고 가서 내자고 제안해도 '영화화되어야 책을 검토할 수 있다'는 곳이 많더라구요. 하지만 일본 책은 한국에서 베스트셀러가 되는 예가 많지요?

"네. 반면에 일본에서 번역 출간되는 한국 문학은 많아야 1년에 20종 정도예요. 한국이 일본 문학을 많이 수입하는 것에 비해 균형이 맞지 않죠. 한국의 좋은 책을 모르고 죽는 일본인은 불쌍하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일본어로 번역해서 내자는 발상을 했습니다. 물론 한국 것이든 아니든 관계없이 좋은 책을 공유하자는 게 원점입니다."


Q 한국 책이 일본에서 통하지 않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저는 세 가지 원인이 있다고 봅니다. 첫 번째는 일본의 편집자가 한국어를 모르니까 흥미가 없다는 점, 두 번째는 일본에서 1년에 20종 정도 출판되는 한국 책 중에 베스트셀러가 아직 없다는 점, 세 번째는 한국 문학의 발전이 일본보다 매우 더뎌서 세련된 문학을 봐왔던 일본인이 한국 문학을 읽어도 재미를 느끼기 어렵다는 점이에요.

하지만 시대가 바뀌었어요. 2000년 이후 한국에는 젊은 작가가 많이 배출되어 한국 문학의 세계관도 넓어졌습니다. 이런 작가들의 소설이라면 일본의 젊은이도 받아들이기 쉽고 재미있어할 거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지금은 어느 나라 사람에게도 통할 수 있는 보편적인 내용의 2000년 이후 작품 중 엄선해서 번역 출간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제가 읽고 좋다고 생각한 책을 출판합니다. 사장은 참 좋은 자리예요."


Q 젊은 작가의 작품 중에서 출판할 책을 고르시나요?

"젊은 작가로 한정하지는 않습니다. 제가 읽은 책 중에서 골라요. 저는 독서를 좋아해서 1주일에 2~3권 읽어요. 한국의 문예지를 읽다가 마음에 든 단편이 있으면 그 작가의 책을 많이 사서 제 눈이 틀리지 않았는지 봅니다. 그래도 역시 재미있으면 저자에게 연락해요."


Q 출판사가 아니라 저자에게 직접 연락하나요?

"네. 대학교 친구 중 작가의 지인이 많아서 저자에게 연락하기 쉬운 환경이라서요. 물론 CUON은 아직 작은 출판사라서 유명한 작가에게 거절당하기도 해요. 그것 때문에 힘들죠. 모두에게 인정받는 출판사가 되려면 아직 시간이 걸려요."


"한국 문학에 충성도를 가진 일본인 5,000명을 만드는 것이 1차 목표입니다. 에세이와 사진, 일러스트가 있는 아트북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국 작가 에세이에 일본인 일러스트 조합도 생각하고 있지요." 




출처 - http://www.mishimaga.com/hon-kobore/index.html


GRIJOA 소출판시대

드래곤 퀘스트 25주년 기념서 <드래곤 퀘스트 모험의 역사서>

2012. 10. 27. 15:01


일본의 국민 RPG <드래곤 퀘스트>는 <드래곤볼>로 유명한 토리야마 아키라의 그림과 호리이 유지의 깨알 같고 감동적인 시나리오, 스기야마 코이치의 장쾌한 음악이 어우러진 걸작 시리즈입니다.


학생 시절 불타올랐던 기억이 떠올라서 이 책을 찾았을 때 다시 그 시절로 돌아간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 책은 게임 공략서가 아니라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를 즐겼던 분들을 위한 추억 보존용 책입니다. 드래곤 퀘스트 1편부터 9편, 그리고 <톨네코의 모험>을 비롯한 관련 작품까지 순서대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448쪽에 올컬러로 명장면과 숨은 이야기들을 즐길 수 있습니다.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25년 연표

1986년부터 2011년까지 나왔던 드래곤 퀘스트 상품에 관한 모든 정보와 사건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첫 장은 드래곤 퀘스트 1편

줄거리→게임 시스템 TOPICS→이식&리메이크 작품→캐릭터 도감→지도→모험의 여로→추억 앨범→시리즈 연구 순으로 보여줍니다.



드래곤 퀘스트 1·2의 이식작&리메이크 작품 소개

패미콤판, MSX판, 슈퍼패미콤판, 게임보이판, Wii판, 휴대폰판... 많이 나왔군요.


드래곤 퀘스트 시리즈 연구1 - 이야기의 역사

1~3편의 로토 전설과 4~6편의 천공의 성이 시리즈에 각각 어떤 관련이 있는지 다루는 페이지.


역대 주인공 소개



역대 보스 소개

데스피사로의 3단 변신을 보면 프리더 같음.


드래곤 퀘스트4 패미콤판의 명장면들

각 장마다 주인공이 달라지는 옴니버스 구성으로 눈길을 끌었던 패미콤 최고의 RPG.


드래곤 퀘스트5 슈퍼패미콤판의 명장면들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가 되기까지 시리즈 중 가장 파란만장하고 감동적이었던 5편.



외전격인 드래곤 퀘스트 몬스터즈1&2 소개


아직 <드래곤 퀘스트>를 즐기지 못한 분들에게는 미리니름이 될 수 있어 추천 드리지 않지만, 드래곤 퀘스트 팬들에게는 기념비적인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GRIJOA

전자책 전문 출판사 다츠진 출판회 대표 다카하시 마사요시(高橋 征義)

2012. 10. 26. 18:13

다츠진 출판회(達人出版会)는 일본의 전자책 전문 출판사로 IT기술서를 내고 있습니다.
대표 다카하시 마사요시(高橋 征義) 인터뷰 발췌.



Q 다니던 소프트웨어 회사를 그만두고 창업하는 것이 불안하지 않았나요?

"원래는 회사에 다니면서 전자책을 하려고 했는데요. 제가 하는 일이 세 개나 되어서 전자출판 서비스는 부업으로 할 수가 없었습니다. 더 이상 부하가 걸리는 건 안 되겠다고 판단해서 '그럼 회사를 그만두자'고 결단을 내렸습니다.


근무하던 회사를 2010년 3월 말에 그만두고 6월에 주식회사 다츠진 출판회(達人出版会)를 차렸습니다. 회사라고 해도 사원은 저 한 명뿐이지만요. 창업 지원 세미나에 참석하면서 '처음에는 사무실을 빌리면 안 된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그래서 사무실이 집입니다."


"종이책은 물류비용이 드는 점, 재판매가격유지제도(완전도서정가제) 때문에 할인을 못 한다는 점 등 여러 가지 제한이 있습니다. 그에 견주면 전자책은 자유로운 방식을 시도할 수 있어요.

단, 현재의 전자책은 종이책과 전자책의 나쁜 점을 이어받은 것 같습니다. 종이책만큼 비용이 드는데, 품질은 종이책만큼 높지 않지요. 사용하는 기기에 따라 레이아웃이 흐트러지는 문제도 있습니다."


"전자책이 주류가 되면 출판 종수는 종이책 시대보다 두 자릿수 이상 늘어날 것입니다. 개인도 출판이 가능하니까요. 실제로 미국 아마존에서는 전자책을 개인 출판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책 대부분은 거의 가치 없는 책입니다. 그 안에서 양질의 책을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Q 전자책이 나오면 종이책 판매 부수가 떨어진다는 말에 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매출에 영향이 있는지 솔직히 잘 모르겠어요. 종이책이 있으면 전자책은 안 산다는 분들은 그리 많다고 보지 않고요. 그런 분은 이러쿵저러쿵 말하면서 전자책도 안 사는 분이에요.(웃음)

단, 지금 이런 이야기를 하면서 웃을 수 있는 것은 종이책 매출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이고, 종이책과 전자책이 서로 경쟁하게 되면 양쪽 모두를 사는 사람이 많지 않게 되어서 시장을 서로 잡아먹지 않을까 합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금 시점에선 별로 생각할 필요가 없지요."


"우리 회사는 전자책만 계약하고 같은 책의 종이책 버전은 계약하지 않아요. 종이책을 안 내는데 그것까지 계약으로 묶어버리면 서로 불행해지고 저자한테도 좋은 일이 아니라서요."


"우리 회사가 앞으로 종이책 출판사와 어떻게 잘 지낼까 하는 건 큰 과제예요. 앞으로 전자책과 종이책이 경쟁하는 것은 피할 수 없고, 현시점에서도 대립 관계라고 생각하는 출판사도 있어요. 그래서 종이책으로 내고 싶은 출판사는 저자와 상의해서 마음대로 하시라고 하고, 종이책 출판사와 좋은 관계를 유지합니다."


"우리 회사는 출판 계약이 아닌 저작물이용허락계약서를 씁니다. 전자책도 배타적으로 다른 회사와 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금지하지 않는 형태입니다. 그래서 저자가 다른 전자책 서점에 내고 싶다고 하면 그렇게 하시라고 합니다. 

저자의 권리를 잠가 버리면 저자가 싫어할 테니까요. 그것 때문에 우리 출판사에서 내고 싶지 않다고 하면 곤란하기도 하고요. 단, 독점판매밖에 허용하지 않는 플랫폼에서 파는 경우, 우리 출판사 전자책을 내리라고 하면 다툴 것 같아요. 그래서 판매 기간을 정해놓기도 합니다."




출처

http://techon.nikkeibp.co.jp/article/INTERVIEW/20110719/193436/?P=1

http://ebook.itmedia.co.jp/ebook/articles/1210/22/news025_3.html

GRIJOA 전자책